본문 바로가기
인물

폴 디랙(Paul Dirac)의 생애, 업적, 명언 그리고 사망

by bloomingstar 2023. 8. 5.

폴 디랙은 영국의 물리학자로, 양자역학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그가 발견한 디라크 방정식은 양자역학과 상대성 이론을 결합하여 전자의 움직임을 설명하는데 사용되었고, '디라크 상수'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양자역학을 발전시켰습니다. 그는 양자전자론을 개발하며 양자역학의 기초를 다지고, 1933년에는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습니다. 디라크의 연구는 현대 물리학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폴 디랙의 생애

폴 디랙은 1902년 8월 8일 영국 브리스톨에서 태어나 부모님의 집에서 자랐습니다. 그의 아버지 찰스 디랙은 스위스 출신으로 브리스톨에서 프랑스어 교사로 일했고, 어머니 플로렌스 디랙은 콘월에서 태어난 감리교 신자로, 브리스톨에서도 사서로 일했습니다.

디랙은 어머니와 함께 자라면서 어머니의 고향 콘월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영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폴에게는 여동생 베아트리체와 형 레지날드가 있었으나, 형 레지날드는 1925년에 자살하였습니다.

디랙의 아버지 찰스는 엄격하고 권위적인 성격이었으며, 디랙과의 관계가 경색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디랙은 아버지의 사망 후에 자유롭게 됐다고 표현하면서 아버지의 영향에서 벗어날 수 있었습니다.

디랙은 프랑스어로만 말하도록 강요받아 언어적 어려움을 겪었고, 이에 따라 언어적 표현의 제약을 경험했습니다. 결국 디랙은 프랑스어로 표현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는 침묵을 선택했습니다.

디랙과 가족의 귀화는 1919년에 이루어졌으며, 그 이후로 디랙은 아버지와의 관계에서 벗어나 자신의 길을 찾아갔습니다.

 

폴 디랙은 처음에는 비숍 로드 초등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습니다. 그 이후에는 부모님이 프랑스어 교사였던 무역상회의 기술대학(뒤에는 코탐 학교로 알려짐)에서 교육을 받았습니다. 이 학교는 브리스톨 대학교에 속한 기관으로, 기술적인 주제를 강조하는 교육을 제공했습니다.

디랙은 브리스톨 대학교 도시 장학금으로 무역상회 기술대학에서 전기 공학을 공부한 후, 케임브리지 대학교 세인트 존스 칼리지에 입학하려 시도했습니다. 그는 합격했지만 경제적인 이유로 장학금으로 생활 비용을 충당할 수 없어서 케임브리지에 가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그는 브리스톨 대학교에서 수학을 공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디랙은 수학 학사 학위를 받았으며, 사영 기하학에 특히 흥미를 가졌습니다. 그의 수학적 지도자 피터 프레이저의 영향을 받아 기하학을 상대성 이론에 적용하기 시작했습니다.

1923년에 디랙은 다시 한 번 퍼스트 클래스 아너스로 졸업하고 장학금을 받아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공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는 일찌기 일반 상대성 이론과 양자 물리학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고, 박사 학위를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이후 그는 다양한 대학과 연구소에서 연구를 진행하며 자신의 물리학적 흥미와 경력을 발전시켜나갔습니다.

 

폴 디랙은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1932년부터 1969년까지 루커스 수학 교수로 재직하였습니다. 그는 케임브리지에서 중요한 물리학적 이론과 모델을 개발하고 연구하였습니다. 그 중에서도 1937년에 소위 "대수 가설"에 기반한 사변적 우주론적 모델을 제안했습니다. 또한 제2차 세계대전 중에는 가스 원심분리기에 의한 농축 우라늄에 관한 중요한 이론과 실험 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

그러나 디랙의 가장 유명한 기여는 양자 전기역학(QED)에 대한 연구입니다. QED는 무한하고 예측이 어려운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재규격화 방법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였지만, 디랙은 이 방법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대신, 디랙은 자신이 개발한 해밀턴 이론을 기반으로 한 "논리적 기초"에 양자 전기역학을 적용하는 작업을 수행했습니다. 그는 슈윙거와 파인먼의 결합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새로운 방법을 통해 중력과 양자역학을 연결하고 발전시키는 데에 기여하였습니다.

 

또한, 디랙은 후에 미국으로 이주하면서 플로리다주립대학교와 마이애미 대학교에서 마지막 인생과 물리학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이기간 동안 그는 중력의 양자화 문제를 다루는 해밀턴 방법을 적용하여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이론을 해밀턴 형식으로 변환하고, 물리학 연구를 지속했습니다.

폴 디랙은 생애 마지막 12년 동안 60편 이상의 논문을 발행하며 연구를 이어나갔습니다. 그의 연구에 대한 마지막 논문은 양자장 이론에 대한 그의 최종 판단을 담고 있으며, 양자장 이론의 제한과 문제점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제시하였습니다. 결국, 폴 디랙은 해밀토니안을 찾기 위해 오랜 노력을 기울였지만 찾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끊임없이 연구를 이어가고 다른 연구자들도 그를 따라가기를 희망하며 마지막 날까지 연구에 헌신하였습니다.

 

폴 디랙의 업적

1. 디랙 방정식의 발견: 1928년에 폴 디랙은 전자의 동력학적 특성을 설명하는 디랙 방정식을 발견했습니다. 이 방정식은 양자역학과 상대성 이론을 결합하여 전자의 운동을 예측하는 중요한 도구가 되었습니다. 디랙 방정식은 양자역학의 핵심 개념을 포함하고 있으며, 전자의 스핀, 자기모멘트, 스핀-오비탈 간의 상호작용 등을 설명하는데 활용됩니다.

 

2. 디랙 상수 도입: 폴 디랙은 수학적으로 아름다운 방정식을 찾는 데에 관심을 가졌는데, 이를 위해 '디랙 상수'를 도입했습니다. 이 상수는 자연 상수와 수학적인 개념을 결합하여 물리학의 여러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디랙 상수는 양자역학과 양자전자론 등의 이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양자역학의 계산과 예측을 가능하게 합니다.

 

3. 양자전자론의 개념 확립: 폴 디랙은 양자전자론의 개념을 확립하여 양자역학의 발전을 이끌었습니다. 그는 전자와 양의 전하를 결합하여 전하를 설명하는 방식을 개발했으며, 이는 양자전자론의 핵심 개념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4. 양자전자론의 상대론적 개선: 폴 디랙은 양자전자론과 상대성 이론의 조화를 시도하여 상대론적 개념을 양자역학에 통합하는 노력을 했습니다. 이는 양자역학과 상대성 이론 간의 일관성을 추구하는 중요한 시도였습니다.

 

5. 실현불가능성의 개념 도입: 폴 디랙은 물리학적인 개념으로서 '실현불가능성'을 도입했습니다. 이는 양자역학에서 예측한 결과가 현실적으로 실현되지 않을 수 있다는 개념을 나타냅니다. 이는 나중에 다른 물리학자들에게 영감을 주는데 기여했습니다.

 

폴 디랙의 명언

"과학에서는 아무도 모르는 새로운 것을 모든 사람이 이해할 수 있도록 전달하려고 노력합니다. 하지만 시에서는 정반대입니다." (In science one tries to tell people, in such a way as to be understood by everyone, something that no one ever knew before. But in poetry, it's the exact opposite.)

 

"나는 종교를 두고 논하는 것이 왜 하필 허상에 흥미를 갖는지 이해할 수 없습니다. 우리는 과학자로서 정직하고자 하며, 정직이 우리의 정확한 의무입니다. 어떤 이가 신을 믿는다는 것이 왜 이해할 수 없는 것인지 우리에게는 이해되지 않습니다." (I cannot understand why we idle discussing religion. If we are honest—and as scientists honesty is our precise duty—it is beyond our comprehension why anybody should believe in a God.)

 

"수많은 물리학과 화학의 수학적 처리에 필요한 기본 법칙들은 이미 완전히 알려져 있습니다. 어려운 점은 이 법칙들을 적용하면 너무 복잡하여 해결하기 어려운 방정식이라는 사실에 있습니다."(The fundamental laws necessary for the mathematical treatment of a large part of physics and the whole of chemistry are thus completely known, and the difficulty lies only in the fact that application of these laws leads to equations that are too complex to be solved.)

 

"과학의 목표는 어려운 것을 더 간단한 방식으로 이해 가능하게 하는 것이고, 시의 목표는 간단한 것을 이해하기 어려운 방식으로 표현하는 것입니다. 이 둘은 양립할 수 없습니다."(The aim of science is to make difficult things understandable in a simpler way; the aim of poetry is to state simple things in an incomprehensible way. The two are incompatible.)

 

"방정식에서 아름다움을 얻으려고 노력하며, 진정한 통찰력을 갖고 있다면, 그것은 확실한 진보의 방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It seems that if one is working from the point of view of getting beauty in one's equations, and if one has really a sound insight, one is on a sure line of progress.)

 

폴 디랙의 사망

폴 디랙은 1984년에 플로리다주 탤러해시의 자택에서 사망했습니다. 그의 사망 후, 탤러해시의 로즈론(Roselawn) 공동묘지에 묻혔습니다. 그는 브리스톨의 비숍스턴(Bishopston) 지역에 있는 어린 시절의 집은 파란색 명판으로 기념되어 있으며, 근처의 '디랙 도로'(Dirac Road)는 폴 디랙과 브리스톨 시의 관련성을 고려하여 그의 이름으로 지어진 것입니다.